Inconvenient to positive


'참아라,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 는 등의 경험으로부터인 표현을 통해, 사람들은 때로는 자신과 타인을 합리화 하기도, 때로는 실제적으로 유익이 되기도 하는 등의 모습을 경험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항상 맞거나, 틀리거나 할 수 없음을 발견합니다만,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인생의 지침이 됨은 사실이라고 하겠습니다. 당시, 참지 않는 다른 대안이 없고, 생각이 나질 않아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겠느냐 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그 참음이 좀 더 유익이 됨이 많다는 인생의 검증에 기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불편을 참고 인내하는 것이 유익이 되기도 하고, 불편을 통해 나아짐으로 나아가려는 노력이 좀 더 좋은 결과를 얻기도 합니다.

참는다는 것의 유익은, 그로부터 배운 무엇에 있다고 하겠습니다. 참고 인내를 하였는데, 그로부터 얻은 것이 없다면, 같은 참음의 반복에 내성이 생긴 것이기도 하며, 그 내성은 어느 정도 기간마다 반복을 해야만이 그것이 유지됨으로, 반복을 지향하는 참음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 인내를 한 후, 그것을 통해 배우고, 반복이 아닌 무언가 좀 더 나은 삶과 혜택을 통해 인류는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쁜 것을 무작정 참으면 해가 됩니다만,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에는 별 도리가 없기에 그러할 것입니다. 때로는 참지 않아도 되는데, 타인의 시선과 공동체의 사회적 합의, 예절 등에 의해 그것을 참아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런 경우의 참음은 오랜 인류의 검증을 통해 입증이 된 것으로 그것이 공동체에 유익이 되는 부분이 많기에 그런 것이라는 이해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배움, 교육 등의 결과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인간에게는 내재한 기본적인 욕구, 세상적인 욕구 등이 있습니다. 그것도 때와 장소를 가리며 적절하게 해 나갈 때, 지지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은, 인류의 오랜 학습과 체험의 산물입니다. 물론, 근래 실시간 정보의 노출 등의 세대에 이것이 좀 재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있기는 한 것 같습니다만, 그렇다고 본질이 다르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그 가운데 어떤 욕구는, 이전에는 주로 남이 모르게 개인적으로 머리 속에서 가능했다면, 이제는 대체로 언제 어디서나 보고 듣는 것이 가능해 졌으며, 타인의 유혹에 때로는 작게, 때로는 크게, 자신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그 만큼, '기독교적으로는 회개와 뉘우침과 용서' 의 반복이 이전에 비해 많고 자주 발생하며, 양적으로는 증가한 반면, 질적으로는 좀 떨어진 모습을 살아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모습이 긍정인지, 그렇지 않는지는 자문해 보면 좋겠습니다. 인문, 사회, 과학, 의학 등의 관점으로 살펴보기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는 호재일 수 있겠습니다만, 여하튼 장, 단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참음과 인내를 통해 불편에 머물러만 있는다면, 인생에는 변화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누군가는 변화가 없는 삶에 익숙하며, 그것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모습은 존재 가능합니다. 누군가는 참음과 불편보다 좀 더 나은 무언가의 시도를 통해, 삶의 부정을 넘어 긍정으로 향하게 합니다. 어느 쪽이든, 서로 존중, 대화, 의심, 회피, 논쟁, 다툼, 아픔, 화해 등을 통해 어디론가 계속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것은 지구 공동체가 아는 듯, 모르는 듯, 어디를 향해 가고 있음과 같다고 하겠습니다.
이전보다 나아져야 한다는 것이 강박이 될 수 있습니다만, 때로는 그것을 우회하고, 때로는 넘어서는 성숙하고 성장한 그 무엇에 도달하게 된다면, 인류, 거창하게 할 것까지는 없어도, 어떤 개인의 삶에 긍정이 될 수 있음을 압니다. 그 자세를 지니며, 본론과 같은 결론에 들어서려 합니다.  

삶에는 발전한 것 같은데 살펴보면 정체, 때로는 퇴보한 것과 같은 모습이 있음을 들어, 항상 모든 분야에 걸쳐 발전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겠습니다만, 제 작품의 행보는 퇴보와 정체가 존재 가능함에도 발전하는 창작을 지향합니다.

우산입니다.

in to po 1
우산의 크기가 커지면 좋기도 하고, 너무 커서 불편하기도 합니다.

in to po2

우산의 한 부분을 늘린 옆 모습입니다.

 

in to po3
우산이 펴진 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입니다. 체형에 맞게 사이즈를 제작합니다.


참음과 인내와 무지를 통해, 불편함이 생각나다가, 비가 그치고, 해가 뜨면 잊고를 반복한지 어언 수 십 년이 되었습니다. 그간 시제품이 등장할 만 한데, 나오지를 않았기에, 작품을 표현해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Jul, 2017

* 해당 작품 내, 우산 디자인의 경우 한국 특허청에 타인의 오래 전 출원된 디자인이 존재함을 발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의성 카피가 아니며, 언급한 바와 같은 창작의 일치이기에 작품으로서의 소개는 지속합니다. Nov 2017

 

Copyright © many rights reserved. Thank you.